2013년 5월 6일 월요일

아동문학-전래동화의 특성과 문학적 가치

아동문학-전래동화의 특성과 문학적 가치
아동문학-전래동화의 특성과 문학적 가치.hwp


본문

전승문학 중 전래동화의 정의와 특성을 알아보고, 전래동화의 장르인 민담, 우화, 신화, 전설의 특성과 종류 및 그 차이점과 공통적인 부분에 대해 생각해보고 문학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자.
(1) 전승문학(구비문학, 구전문학)이란?
사람들의 입에서 입을 통해 전해 내려오는 문학.
*전승문학의 특징
1. 말로 된 문학 - 말로 전달되고, 일회적이고 변화해 가는 문학.
2. 구연되는 문학.
3. 공동작의 문학 - 이야기를 듣고 재구성해서 전달.
4. 단순하며 보편적인 문학.
5. 민중적이며 민족적인 문학.
(2)전래동화란?
-전승문학 중에서 동심을 그 바탕에 깔고 있는 이야기.
-옛날부터 구전으로 내려오는 작가 미상의 이야기로 민담, 우화, 신화, 전설이 포 함 된다.


*창작동화특징
1.환상동화
전래동화와 같이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세계가 아닌 초자연적, 공상적, 환상적 마술적인 세계를 그림
예)이상한 나라의 엘리스, 피터 팬, 백조왕자, 피노키오의 모험
2.생활동화
비현실적이며 환상적인 내용의 동화에서 어린이의 주변 세계와 경험을 사실적으로 다룬 생활 동화들이 등장.
예)감기는 정말 싫어, 경수의 하루, 때묻은 강아지 해리, 자기만 아는 바름이

전래동화는 나쁜 일을 하면 벌을 받는다는 권선징악의 특징을 보이는 반면, 창작동화는 어린이 현재의 주변세계 및 경험을 소재로 한다.
교훈적이고 도덕적인 특성을 가지는 전래동화를 원형의 품위 및 풍미를 보존하면서 어린이가 이해 할 수 있는 말로 아름답게 재창조하면 교육적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본문내용
생각해보고 문학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자.
(1) 전승문학(구비문학, 구전문학)이란?
사람들의 입에서 입을 통해 전해 내려오는 문학.
*전승문학의 특징
1. 말로 된 문학 - 말로 전달되고, 일회적이고 변화해 가는 문학.
2. 구연되는 문학.
3. 공동작의 문학 - 이야기를 듣고 재구성해서 전달.
4. 단순하며 보편적인 문학.
5. 민중적이며 민족적인 문학.
(2)전래동화란?
-전승문학 중에서 동심을 그 바탕에 깔고 있는 이야기.
-옛날부터 구전으로 내려오는 작가 미상의 이야기로 민담, 우화, 신화, 전설이 포 함 된다.
1)민담 - 환상적인 요소가 가장 많이 가미, 가장 즐겨서 전해지는 이야기.
- 특정한 작가 없이 널리 알려진 이야기나 소문과 같은 이야기.
1.서양 민담과 한국 민담의 공통점과 차이점
*

참고문헌
아동문학 공인숙, 김영주 외 2명 2009년 (양서원)
아동문학 김현자외3명 2012년 (창지사)
아동문학교육 고문숙, 임영심 외 2명 2007년 (양서원)


하고 싶은 말
아동문학의 특성과 문화적 가치 그리고 창작동화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