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서론
 - 다문화 청소년의 정의
 - 다문화 가정의 형성 원인
 - 다문화 청소년 현황
 
 2. 본론
 - 일반 청소년의 다문화를 바라보는 고정관념
 -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이 겪는 문제점
 
 3. 결론
 - 해결방안
 
 
 
 
 
 
 본문
 다문화의 형성과정(역사적 관점)
 혼혈 1세대
 
 6.25전쟁 발발과 함께 우리나라에 들어온 주한미군과 한국여성 사이에 태어난 혼혈인
 
 혼혈2세대
 ‘ 코리안 드림’을 꿈꾸며 우리나라를 찾은 동남아 남성과 한국여성 사이에 태어난
 
 혼혈 3세대
 한국남성과 주로 농촌에 시집온 동남아 여성 사이에 태어난 자녀들
 
 |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이 겪는 문제점|
 
 
 심리적 증상
 
 청소년기에 친구나
 또래들을 통해 형성하는
 도덕적 판단과
 가치에 영향을 미침
 
 정서적 문제(우울증),
 반사회적 행동(일탈, 비행)
 
 상호이익의 중요성을 배우기 힘듦
 
 
 정체성 확립 어려움
 
 
 2.가정에서의 문제점
 
 -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평균 나이20대초반
 대한 정보부족
 
 
 - 아이들의 대부분 양육자는 ‘어머니’
 ->모국어 습득 어려움
 
 2.가정에서의 문제점
 
 피부색은 필리핀,
 국적은 한국,
 언어는?
 
 어느 것이
 진짜 나일까?
 
 
 -다문화가정 내 청소년들은 두 나라의 언어와 두 나라의 문화속에서
 혼란 에 빠지게 되고, 한국을 모국으로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일반 한국 청소년들과의 다른 모습 때문에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을
 느끼기 어렵고 이에 괴리감에 빠지게됨
 ->정체성 혼란, 정체감 위기
 
 
 서로 다른 가치관
 
 생활풍습(예의 범절)
 2.가정에서의 문제점
 
 
 -일반 한국인과 다른 외모(피부색)과 한국말을 서툴게 하는 어머니를
 사회적 편견과 냉대의 시선으로 대하는 사람들을 보며 모국에 대한 애정감소와 동시에 무시를 당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때문에
 매사에 자신감 상실.
 
 -심하게는 자신을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계속적인 실패경험(ex.사회적제약, 또래친구들과 교류실패)은 자신들의 부정적인면을 더욱 강화시키게 된다.
 ->부정적 자아개념 형성
 ☞또래친구들을 사귀기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학교의 부적응은 학업부진으로이어질수있다.
 
 
 
 본문내용
 고정관념
 - 다문화 가정의 청소년이 겪는 문제점
 3. 결론
 - 해결방안
 목차
 
 | 서론|
 
 |다문화 청소년의 정의 |
 
 다문화 청소년
 다문화 가정
 국제결혼 또는 이중문화가정,
 서로 다른 인종의 부부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를 중점으로 하여
 혼혈인 가족 등으로 불리던 국제결혼가족의 새로운 개념
 다문화 청소년
 부모 중 한 명이 외국인으로 그 사이에서
 출생한 자녀
 
 다문화의 형성과정 (역사적 관점)
 
 다문화 청소년의 종류
 북한출신 가정(새터민)
 한민족 이주 가정 (조선족, 고려인 가정)
 국제결혼 가정
 외국인 가정
 
 - 2010년 국제결혼가정의 학생 수는 30,040명
 - 2005년 6,121명에 비해 약5배 증가
 - 초등학생이 78.6%를 차지
 통계청 2010 청소년통계 2010.05
 | 다문화 청소년의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