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주거 및 주택의 정의 2.주거 문화의 특징 -계층화 -이동성 -지위로 나타나는 거주지역 3.특이한 사례들 -아파트에 대한 인식 -Gentrification 4.결론
본문 1. 계층화 보유주택 유/무에 따른 계급화 맑시즘에 따르면 자본과 생산 수단을 보유한 자본가 계급과 생산수단을 보유하지 못한 노동자 계급이 발생함 이에 따라 자본가 계급에 대한 노동자 계급의 종속 현상이 발생 노동자는 생산물에 대한 소외와 자본가의 이익을 위한 도구로 전락 이를 주택에 대입해보면 주택을 보유한 주택보유 계급과 무주택 계급으로 나눌 수 있음 무주택 계급은 주택에 대한 권리가 배제됨 (무허가 판자촌) 이에 따라 주택에 대한 보상에서도 배제 (세입자 역시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함) 또한 집주인이 설정한 일정한 기준에 의해 삶의 패턴이 통제되기도 함
주변 인프라에 따른 계층화 주변 환경의 인프라가 얼마나 잘 갖춰져 있는가에 따라 계층화가 진행 될 수 있음 교통/교육/유흥/조망/소비 등 여러 조건을 두루 충족하는 지점은 상위 계층이 밀집한 부촌을 형성하게 됨 반대로 인프라 부실 지역은 상대적으로 하위계층이 밀집하게 됨 지역 특성의 유지 계층별 특성이 확립되게 되면 커다란 사건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지역 특성이 유지 되게 됨
계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전제로 삼고 있는 점 좋은 주거환경과 주택은 한정된 희소자원이다 하지만, 주택이 남는다면? 이는 상대적 개념 각 지역별로 교통/문화/교육 등 접근 가능한 인프라 수준이 다름 ‘덜 좋은 주거환경과 덜 좋은 주택’이 많아질 뿐 이미 2010년 무더기 지방 미분양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LH공사에서 1조 5000억원 규모의 지방 미분양 주택 매입 또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 주택문제는 인간이 공동체 생활을 하는 이상 사라지지 않음
2. 인구의 이동성 선형이동 사례 강남 부촌 형성 사례 국가에 의해 집중적인 개발이 이루어져 좋은 생활환경을 조성 이에 따라 부자들의 유입이 가속화 되며 부촌을 형성 결국 강남일대가 포화상태가 되자 분당, 일산 등으로 선형이동이 계속 됨 강남 부촌 형성 사례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 렉스와 무어의 도시사회 체계론 임대주택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강남 부촌을 임대주택 입지에서 누락 팔의 관리주의 도시론 압구정 현대아파트 개발 계획 강남 개발 과정에서 명문 고등학교의 강남 이전 기간시설 (코엑스, 고속터미널, 다리, 터널, 지하철)의 집중 배치 불평등한 공공자원의 배분의 대표적 사례라 볼 수 있음
선형이동 사례(계속) 관악구 대학동(고시촌)의 인구변화 사법시험 폐지와 저렴한 임대 값, 상대적으로 유리한 교통 접근성, 유흥가의 발달로 인해 고시 준비생들이 주축을 이루던 이전과는 달리 고시원/원룸거주 인구의 50%이상이 직장인 고시촌 인구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 파크(버제스/맥킨지) : 경쟁-지배-계승-침입 기존 주 세력이었던 고시생 그룹 vs 새로 유입된 직장인 그룹 사법시험 폐지, 인터넷강의 활성화에 따른 고시생 그룹 결집력 약화 고시원들이 원룸으로 탈바꿈 하며 임대료가 상승 인근 지역의 유흥화가 가속화됨 (pc방, 호프, bar 등등)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력을 보유한 직장인 그룹이 지역상권을 좌우하기 시작 직장인들의 입맛에 맞는 주변 편의시설 확충
본문내용 trification 결론 개요 주거/주택의 정의 주거문화의 특징 특이한 사례들 결론
1. 주거 및 주택의 정의 기본 개념에 대한 정의와 들어가기 주거/주택의 정의
주거 및 주택의 정의 주거/주택의 정의
주택의 종류 주거/주택의 정의
2. 주거 문화의 특징 이론 및 사례 연구 주거문화의 특징
주거문화의 특징 의,식,주인간의 기본 3요소 중 하나 좋은 주거 환경은 모두가 바라는 것 따라서 좋은 주거 환경은 희소성을 띈 자원화 또한 한정된 주택 수로 인해 주택 역시 희소성을 띈 자원 이에 따라 분쟁 및 갈등이 발생 문제의 범위가 광범위하고 갈등해소를 위한 척도가 필요 정책, 법 정부의 개입에 의해 분쟁이 완화되기도 하지만 오히려 심해지기도 함 주거문화의 특징
1. 계층화 보유주택 유/무에 따른 계
참고문헌 김애리, 인구/가구구조 변화가 주택 수요 선호경향에 미치는 연구, 경기대학교, 2011 박수호, 주거공간에 투영된 사회적 과시, 한국사회 제 8집, 2007 박진빈, 1970년대 이후 뉴욕의 젠트리피케이션, 한국역사연구회, 2009 장정희, 고급주택 거주자의 주거지 선호요인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2010 조은진, 이중적 상징의 공간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천현숙, 아파트 주거문화의 특성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2002
1조 5000억 규모 지방 미분양 매입, http://www.jbnews.com/paoin/index.html?PaperDate=2010-09-10, 중부매일일보, 2010. 09. 09 서러운 임대아이들 우리 학교 없애나요,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93543.html, 한겨레, 2011.08.26 임대 입주민 왕따시키는 GS건설 아파트 논란,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TM=news&SM=2402&idxno=549598, 이투데이, 2012. 02. 24 K중 왕따 피해학생이 전학가야하는 우울한 세태,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2011015148237534&outlink=1, 머니투데이, 2012.01.10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