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일월호수의 현 상황
 
 2.일월호수의 오염 원인
 
 3.일월호수 수질개선 대책
 
 4.생태적인 방안, 습지
 
 5.일월호수의 습지가 나아갈 방향
 
 6.습지 성공사례
 
 
 
 
 본문
 1939년 12월 3일 수원농지 개량조합이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축조
 저수량 29.9만 톤, 유역면적 277㏊, 만수면적 18.0㏊
 2007년 공원 내에 670㎡ 부지의 자연학습장 조성
 유입되는 자연 수로가 없어 성균관대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성균관대 환경 플랜트에서 정화해 1일 2000톤을 호수에 방류
 현재, 수질이 아주 안 좋아 일월호수 관리 기관에서 수질 개선을 꾀하고 있음
 
 
 원인 ① 유입수 부족
 → 현재, 성균관대 환경 플랜트에서 성균관대에서 발생한 오폐수를 처리해 일월호수에 유입시키고 있음 (하루 2000톤)
 → 관공서에서 2012년 기한 전까지 서호 하수처리장으로부터 일월호수로 유입수를 끌어들이려는 시도를 하고 있음
 
 
 원인 ② CSO
 
 → 합류식 하수 관거에서 분류식 하수 관거로 변경해 빗물과 섞인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막음
 (오수관과 빗물관을 구조적으로 분리)
 지금까지의 대책은 오염원을 통제해 호수의 오염물질 양을 줄이려는 것
 하지만 호수가 자체적으로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힘을 갖추도록 만들어주는 것도 필요, 그러려면 호수 생태계를 정상화하는 것이 우선
 그 대안으로 습지가 있으며 현재, 일월호수에는 시에서 조성해놓은 습지가 있음
 EM(Effective Microorganisms)
 여러 종류의 미생물을 혼합해 호수의 자체적인 정화능력 회복 도움, 주로 미생물을 주입한 흙 공을 투하하는 방법을 씀.
 
 
 본문내용
 월호수의 현 상황
 
 일월호수(일월저수지)
 1939년 12월 3일 수원농지 개량조합이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축조
 저수량 29.9만 톤, 유역면적 277㏊, 만수면적 18.0㏊
 2007년 공원 내에 670㎡ 부지의 자연학습장 조성
 유입되는 자연 수로가 없어 성균관대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를 성균관대 환경 플랜트에서 정화해 1일 2000톤을 호수에 방류
 현재, 수질이 아주 안 좋아 일월호수 관리 기관에서 수질 개선을 꾀하고 있음
 
 현재 일월호수의 오염도
 구분
 06
 07
 08
 09
 10
 등급
 COD
 12.1
 14.0
 18.0
 15.9
 13.8
 Ⅵ
 SS
 27.3
 17.3
 24.6
 36.8
 21.0
 T-N
 6.948
 8.280
 3.704
 3.253
 3.378
 T-P
 0.354
 0.405
 0.268
 0.367
 0.122
 구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