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공학 심품품질평가 및 실험-묘사분석과 9점 척도
|  [식품공학] 심품품질평가 및 실험-묘사분석과 9점 척도.hwp | 
|           | 
| 
 목차
 1. 이론적 배경
 
 ● 정량적 묘사분석 방법
 
 ● 패널요원 선정 및훈련
 
 ● 9점 기호척도(hedonic scale)
 
 2. 실험목적
 
 3. 재료 및 기기
 
 4. 실험방법
 
 5. 실험 결과
 
 ● 약과의 정량적 특성 묘사
 
 ● 패널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
 
 6. 고찰
 
 7. 참고문헌
 
 
 
 
 본문
 훈련시 제공되는 시료의 종류
 ①질이 일정한 표준시료
 ②특정특성을 갖는 기준시료
 ③강도가 다른 여러 시료
 ④경쟁시료
 
 훈련
 ①패널 리더는 서로 인사를 나누게 하여, 목적을 설명한다.
 ②패널 요원들은 표준품으로 냄새, 향미, 텍스쳐, 외모에 대하여 인지된 특성 용어를 백지에 적는다.
 ③패널 리더는 칠판에 외관, 냄새, 향미, 조직감, 기타의 항목으로 나누어 패널 요원들이 개발한 용어를 항목별로 모아서 적어 놓는다.
 ④두 번째 시료에 대해 2와 3을 반복한다.
 ⑤패널요원들은 첫째 시료와 두 번째 시료의 비슷한점이나 모호한 점 등 수정해 나가야 하는 용어들을 토론을 통하여 외관, 냄새, 향미, 조직감 기타 항목에 평가될 1차 용어를 선발한다.
 
 ● 9점 기호척도(hedonic scale)
 정량적 기호도 검사에서는 9점 기호척도가 가장 많이 이용되며 영어로는 헤도닉 스케일(hedonic scale)이라고 더 많이 부른다. 기호도 검사는 최소한 30인 이상 반복하지 않고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분석은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시료 간의 유의성 검정을 한다.
 
 
 2. 실험목적
 묘사분석의 실험 절차에 따라서 용어의 개발과 선택 및 검사지의 작성을 연습하고 자극의 강
 
 
 본문내용
 된 패널을 이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패널리더의 지시에 따라 작업하는 응답자들은 모든 제품의 감각적 특성을 묘사하기 위하여 감각언어를 개발하거나, 존재하는 감각언어를 수정한다. 패널요원은 제품의 특성이 발현하는 순서대로 나열하여 각 그룹에 관한 정의와 표준화된 평가 방법을 개발한다.
 패널리더의 주요한 책임은 그 훈련을 위한 시료를 준비하고 훈련이 원활하게 돌아가도록 하며 패널에 참여하지 않는다.
 마지막 훈련단계에서 패널요원은 완성된 평가지와 특성훈련을 통해 본 실험과 같은 방법으로 제품을 평가하여 통계를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해 본다.
 ● 패널요원 선정 및 훈련
 실제 필요한 인원보다 2배 내지는 3배의 인원에서 18~20회의 판별 검사를 시행하여 선정
 설문지나 면접을 통해 관심, 출석 가능성, 인간성, 건강
 
 참고문헌
 식품조리과학, 김혜영고봉경, 효 일 2004,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