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혼가정 아동의 특성 2. 이혼가정 아동의 문제점 3. 해결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이혼이란 법적으로 결혼한 부부가 더 이상 함께 살 수 없음을 결정하고 종래의 가족을해체하여 남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가족의 구조와 기능에 많은 변화가 요구되는데 이에 적응하지 못하면 이혼이 역기능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가정은 인간이 출생과 동시에 소속되어 생활하는 기본적인 사회단위로 아동에게는 일차적이고 직접적인 환경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급변하는 사회현상으로 인해 나타난 가족해체 현상 즉,이혼은 이러한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의 기능을 변화시킨다. 우리나라의 이혼율은 2011년보다는 줄어들었지만 다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혼으로 인한 우리나라의 요보호 아동의 숫자로 전체 발생원인 중 미혼모아 다음으로두 번째를 차지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아동은 한쪽부모의 상실과 생활의 변화로 스트레스를 받아 자아 존중감이 낮아지고 자신을 비난하게 되며 학업 집중에 어려움을 느껴 일반 가정의 아동 보다 낮은 학업성취도를 보이며 인지능력이 떨어지고 학교 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 다. 또한 부모 이혼으로 발달과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학교부적응으로 인해 심리 사회 행동 적응 문제를 겪은 아동은 성인기 부적응-일반가정의 동류보다 대학입학이나 졸업이 더 적고, 실업률이 더 높고 부모자녀관계 부부관계에서 더 문제를 나타내는 등- 과 관련성 이 높다는 심각성을 지닌다. 하지만 우리가 이에 대해 접근할 때는 이혼을 가족 해체나 병리현상으로 바라보기보다 는 가족 재구조화로 바라보아, 이혼가정의 아동일지라도 비이혼가정의 아동과 다르지 않 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적, 실천적 접근을 알아보려 한다.
Ⅱ. 본론
1. 이혼가정 아동의 특성
정상가정 아동과 이혼가정아동의 차이점은 크게 네 가지 부분에서 나타난다. 우선 정서적인 부분에서는 이혼가정 아동이 정상가정의 아동보다 더 높은 불안수준을 나타낸다. 이는상실감으로 인한 불안인데,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이혼을 경험한 아동의 상실감은 크게 다섯 단계로 구분 된다. 첫째, 부정의 단계로 아동은 부모의 이혼을 받아들이지않고 이혼전의 가정생활을 상상 한다. 둘째, 분노의 단계에는 부모에게 부정적인 주의를끌어서 부모를 화해시키기 위해서 공격성이 증가 한다. 셋째, 타협의 단계에는 상실감을극복하기 위해서 자신과 타협하는 것으로 자신의 행동을 고치면 부모를 화해시킬 수 있다고 생각 한다. 넷째, 우울의 단계는 자신이 환경을 통제하거나 부모의 화해에 영향을 줄수 없다는 것을 알고 우울해한다 이때는 자신이 과거에 좋지 못한 행동을 한 것을 후회하고 자신을 비난한다. 마지막으로 수용의 단계는 아동이 좋든 싫든 부모의 이혼은 객관적인 사실이라는 것을 알고 받아들이게 된다. 아동은 학년에 따라서 이혼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다르게 나타내는데 저학년은 슬픔으로, 고학년은 분노나 당황 그리고 외로움을 나타낸다고 했다(이애경, 1993, 재인용). 우울과 위축은 12-15세의 이혼가정 아동에게서 가장자주 나타났다.
본문내용 김지혜 200820467 김경민 200820502 문혜령 정대웅 김동아 제 출 일 2012/6/4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혼가정 아동의 특성 2. 이혼가정 아동의 문제점 3. 해결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이혼이란 법적으로 결혼한 부부가 더 이상 함께 살 수 없음을 결정하고 종래의 가족을 해체하여 남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가족의 구조와 기능에 많은 변화가 요구되는 데 이에 적응하지 못하면 이혼이 역기능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가정은 인간이 출생 과 동시에 소속되어 생활하는 기본적인 사회단위로 아동에게는 일차적이고 직접적인 환 경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급변하는 사회현상으로 인해 나타난 가족해체 현상 즉, 이혼은 이러한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의 기능을 변화시킨다. 우리
참고문헌
지선례(2010). 이혼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아동의 개인적 변인과 가족 변인을 중심으로 김선주. (2005). 이혼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성산효도대학원대학교). 박미정. (2011). 결혼이주여성 이혼 경험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주미연. (2010).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이혼의사 결정요인 분석. (국내박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여성가족부 - http://www.mogef.go.kr/korea/view/policyGuide/policyGuide06_05_01.jsp http://blog.naver.com/masan386?Redirect=Log&logNo=140038782365 http://www.up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23115 김정미. (2010). 이혼가정 아동의 정서표현성, 정서표현 양가성 및 문제행동. (상담심리학석사 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박연수. (2003). 이혼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김영숙. (2006). 이혼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업성적에 미치는영향.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공계순, 박현선, 오승환, 이상균, 이현주. (2011). 아동복지론 통계청 010 혼인, 이혼 통계 현은민. (2003).재혼가족의 아동: 가족적, 사회적 측면에서 경험하는 문제와 대책 고찰 (석사학위논문, 안동대학교 가정관리학과). 한부모가족지원센터 (http://www.seoulhanbumo.or.kr/business/business6.jsp)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