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5월 26일 일요일

북한의 인권 실태와 국제 인권법

북한의 인권 실태와 국제 인권법
북한의 인권 .hwp


목차
1.서설
2.북한의 인권 침해 사례
(1) 정치범 수용소
(2) 재판
(3) 탈북자 문제

3.북한 인권법 제정
(1) UN
(2) 미국
(3) 일본
(4) 한국

4.결론

본문
북한 정치범 수용소의 대표격인 요덕 정치범 수용소의 사건들을 다룬 요덕스토리의 제작과 함께 전 세계가 북한의 인권에 대해서 뜨거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국내에서도 북한의 정치범과 함께 탈북자, 북한의 국민들에게 까지 그 관심이 확장되었다. 그 결과로 미국에서 북한 인권법이 제정되었고 UN에서도 북한 인권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본문내용
작했고 국내에서도 북한의 정치범과 함께 탈북자, 북한의 국민들에게 까지 그 관심이 확장되었다. 그 결과로 미국에서 북한 인권법이 제정되었고 UN에서도 북한 인권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그리고 최근에는 중국의 탈북자에 대한 처우에 대해서도 국제적으로 이슈화가 되었다. 그 쟁점은 탈북자에 대한 망명의 지위를 인정할 것인지 일반적 탈주자로 볼 것인지가 그 주요사항이 되는데 전자의 경우 그 망명자의 요청에 의하는 국가로 전출을 해 줄 국제법상 의무가 있지만 후자의 경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이는 특히 중국을 통한 탈북자의 경우에 해당하는데 이도 또한 북한의 국민의 인권에 대한 연장선으로 파악해야 할 것이다.
개인적으로 군대에서 탈북자의 강의를 들을 수 있었는데 이때 북한 내부의 사정들과 정치범수용소의 이야기,

참고문헌
http://blog.naver.com/pinky1128?Redirect=Log&logNo=150102260313
http://blog.naver.com/minimgh?Redirect=Log&logNo=70133307423
http://blog.unikorea.go.kr/1735
http://blog.unikorea.go.kr/1735
http://blog.unikorea.go.kr/1733
http://blog.unikorea.go.kr/1738

하고 싶은 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