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15일 토요일

온라인저널리즘

온라인저널리즘
온라인저널리즘.pptx


목차
Chapter.1논문 /
탐사저널리즘의 의제설정이론
Chapter.2 탐구 /
프로퍼블리카


본문
탐사저널리즘의 속성의제설정
: KBS <추적 60분> ‘KT&G를 아십니까’ 현장실험 연구

이영돈 (고려대학교 언론학부 박사)
심재철 (고려대학교 언론학부 교수)
노성종 (고려대학교 언론학부 석사)

흡연의 폐해를 심층적으로 취재한 TV 탐사저널리즘의 효과 확인

탐사보도 프로그램이 사람들의 태도와 인식의 변화에 영향력 행사

현장실험을 통해 TV 탐사 저널리즘의 속성 의제설정 효과 발견


1) 텔레비전 탐사보도의 제1차 의제설정 : 사안의 중요성 전이
의제설정 효과
이슈의 특성 = 수용자의 의제 설정 조절변인
→ ‘정향욕구’
탐사보도는 수용자들이 높은 수준의 정향욕구를 갖게 만든다.

프로테스의 연구
수용자의 정향욕구: 탐사보도의 효과 조절
높을수록 → 효과 커짐
⇒ 정책적 변화

부차효과
사안의 특정 속성에 대한 대중매체의 지속적인 보도가 그 속성의 상위에 있는 이슈의 중요성을 현저하게 만들게 되는 현상


연구가설1

탐사보도물을 접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흡연의 폐해를 우리사회의 보다 중요한 당면과제로 인식하게 될 것이다


1 실험참가자
&#8226;심층취재 프로그램 ‘KT&G를 아십니까’ 방송되기 전,
서울지역에서 인구비례 할당을 통해 피험자 120명 모집

&#8226;성별, 나이, 흡연 비율에 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60명씩 무선할당


<추적 60분>은 ‘상상예찬’이 기업 PR이 아닌 담배광고라 인식
→ ‘KT&G를 아십니까’를 통해 국민에게 흡연의 폐해를
중화시키는 PR 전략을 무산시키고자 시도


3 주요변인의 측정
담배규제 사안의 중요도 인식
금연과 간접흡연에 대한 위험성 평가와 대응
KT&G에 대한 부정적 태도
정책 변화 요구 (표3)






본문내용
널리즘의 의제설정이론
Chapter.2 탐구 /
프로퍼블리카

한국언론학보
53권 2호, 2009년 4월, 161~182
Http://www.comm.or.kr/
탐사저널리즘의 속성의제설정
: KBS <추적 60분> ‘KT&G를 아십니까’ 현장실험 연구
이영돈 (고려대학교 언론학부 박사)
심재철 (고려대학교 언론학부 교수)
노성종 (고려대학교 언론학부 석사)
흡연의 폐해를 심층적으로
취재한 TV 탐사저널리즘의
효과 확인
현장실험을
통해 TV 탐사 저널리즘의
속성 의제설정 효과 발견
탐사보도
프로그램이
사람들의
태도와 인식의 변화에
영향력 행사

논문분석 - 연구목표
탐사저널리즘
텔레비전 심층취재 프로그램이 시청자의
인식, 태도, 행동에 어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가?
But
자극적, 선정적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