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조사 월마트 국내 진출 실패사례, 이마트 중국진출 성공사례 비교
|  [마케팅 조사] 월마트 국내 진출 실패사례, 이마트 중국진출 성공사례 비교.hwp | 
|           | 
| 
 목차
 Ⅰ. 서론
 
 이마트의 성공사례와 월마트의 실패사례 비교
 
 Ⅱ. 본론
 
 1. 회사소개
 
 2. 전략분석
 
 Ⅲ. 결론
 
 
 본문
 ③ SWOT분석
 [SWOT분석을 통해 알아본 이마트 중국진출]
 S
 ․ 국내 시장에서의 성공 노하우
 ․ 저렴한 가격, 다양한 상품
 ․ 세련된 쇼핑 환경, 차별화된 서비스
 ․ ‘이마이더‘ - 이름에서 오는 친근감
 ․ 현대적인시설 (자전거 무상수리센터,
 장애인 전용 화장실을 설치)
 W
 ․ 외국기업과 비교할 때 자금 조달력이약함
 ․ 외국진출경험의 부재
 ․ 타 기업에비해 늦은 시장진입
 O
 ․ 중국의 시장잠재력
 ․ 한국이라는 좋은이미지
 (형제의 나라,한류)
 ․ 중국 유통시장 2007.1.1부터 외국기업에
 완전개방
 T
 ․ 외국유수기업과의 피할수 없는 경쟁
 ․ 열악한 유통인프라 (높은물류비용,
 과다한 유통단계별 비용, 전문인력부족)
 ․ 신용과 신뢰의 문제
 
 내부환경 분석(Strength & Threat)
 
 강점 - Strength
 신세계 이마트는 현지화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중국 시장에 매우 친근하게 접근하고 있다. 그 예로 중국 이마트에 중국 현지인을 90% 이상 채용하여 언어나 문화 측면에서 거리감을 없이 하였고, 중국인들의 생활패턴 등을 적극적으로 파악하여 그곳에 맞는 전략들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합리적 소비를 추구하는 중국인들에게 적합하도록 시중 백화점보다 20~40% 정도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그리고 시너지 판매효과로 볼 수 있는 점은 이마트 위층에는 가전 및 가구 전문 매장, 옆에는 홈인테리어 전문매장이 포진하여 내구소비재를 공급하고 이마트는 생필품을 제공하여 one-stop 쇼핑이 가능하게 전략을 추진하였다.
 또한 외국계 할인점들의 창고형 인테리어와 달리 신세계 이마트는 고급스럽게 인테리어를 함으로써 고객만족을 이끌어 내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 축전된 운영 노하우를 중국에서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약점 - Weakness
 신세계 이마트는 국내에서는 제 1의 할인점이라는 명성을 가지고 있지만, 외국의 유수한 유통업체들에 비해 해외진출 경험이 부족하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외부환경 분석(Opportunity & Threat)
 
 
 본문내용
 을 시도한 결과 큰 성공을 이루지 못했고,
 8년만인 2006년 한국 시장에서 철수 하게 된다. 세계1위의 월마트가 한국시장에서는 실패한 것이다. 세계1위 기업이 왜 한국이라는 작은 시장을 휘어잡지 못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 수밖에 없다.
 반면 세계 1위의 월마트의 국내 시장 실패 사례와는 반대로 세계1위는 아니지만 국내유통산업시장에서 월마트를 비롯한 막강한 여러 업체를 제치고 국내 1위의 E-MART는 중국으로 진출하여 비교적 성공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세계 1위 업체는 작은 한국에서 성공하지 못했고, 국내 1위의 이마트는 우리의 몇 배는 큰 시장규모를 가지고 있는 중국으로 성공적인 진출을 해내었다. 이러한 점에 흥미를 느끼고 왜 월마트는 한국 시장에서 실패하였는지, 이마트는 왜 해외에서 성공하였는지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