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15일 토요일

불법파견률, 노조전임자, 작업편성률

불법파견률, 노조전임자, 작업편성률
불법파견률, 노조전임자, 작업편성률.pptx


목차
1. 노동조합
(1) 노조의 의의와 역할
(2) 우리나라의 노조

2. 노조 전임자
(1) 노조 전임자의 의의와 역할
(2) Time off 제도

3. 작업 편성률
(1) 작업 편성률
(2) 노동 유연성

4. 불법 파견
(1) 파견제도
(2) 불법 파견
(3) 사측의 입장


5. 결론


본문
시작 전 알아보는 노동시장에 대한 기본지식

“근로 기준법”– 개별적 노사관계법
헌법 제32조 제1항
모든 국민은 근로의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사회적,경제적 방법으로 근로자의 고용의 증진과 적정임금의 보장에 노력하여야 하며,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최저 임금제를 시행하여야 한다.

헌법 제 32조 제 3항
근로조건의 기준은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도록 법률로 정한다.

“노동 조합 및 노동관계 조정법 “ – 집단적 노사관계법
헌법 제 33조 제 1항
근로자는 근로 조건의 향상을 위하여 자주적인
단결권, 단체교섭권 및 단체 행동권을 가진다.





현대 자동차

연봉 – 2012년 상반기 기준 4850만+@
복리후생
자녀학자금 지원
진료비 지원 – 건강 보험급여 항목 중 본인 부담금에 대해 본인 전 액, 직계가족의 경우 반액 지원
차량 D/C
사계절 휴양소
주거지원금 지원
개인연금 지원
기타 – 명절 선물, 직원예식장, 통근 및 귀성버스 운영, 귀향비 지원, 장기 근속자 포상, 해외여행 실시 등

노조 전임자

(1) 노조 전임자의 의의와 역할

노조 전임자란?

전임 기간 동안 노동조합의 업무에만 종사하는 사람


노조법 제 24조 [노동조합의 전임자] 규정

근로시간 면제 한도 내에서 노조 전임자는 단체협약으로 정하는 한
유급으로 노사관계 발전을 위한 노동조합의 유지, 관리 업무를
할 수 있다.

법적 지위 : (1) 휴직 상태의 근로자와 유사하다
(2) 노조의 업무를 보는 내에서는 업무 규율상 취업규칙이나
사규가 적용된다.


사실 근로기준법 상 사용자는 노조전임자에게 임금지급 의무가 없으나
단체협약을 근거로 유급 노조전임자가 가능하다.

강성노조가 있는 많은 기업들에서 상당 수의 유급 노조전임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본문내용
노조 전임자의 의의와 역할
(2) Time off 제도
작업 편성률
노동 유연성
파견제도
불법 파견
사측의 입장

시작 전 알아보는 노동시장에 대한 기본지식
“근로 기준법” 개별적 노사관계법
헌법 제32조 제1항
모든 국민은 근로의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사회적,경제적 방법으로 근로자의 고용의 증진과 적정임금의 보장에 노력하여야 하며,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최저 임금제를 시행하여야 한다.
헌법 제 32조 제 3항
근로조건의 기준은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도록 법률로 정한다.
“노동 조합 및 노동관계 조정법 “집단적 노사관계법
헌법 제 33조 제 1항
근로자는 근로 조건의 향상을 위하여 자주적인
단결권, 단체교섭권 및 단체 행동권을 가진다.

시작 전 알아보는 노동시장에 대한 기본지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