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도입 -입양의 정의 -입양의 특성 -입양의 절차 및 현황 -입양가족의 어려움 - 파양 - 입양부모가 겪는 고충 2.프로그램 ‘가족의 탄생’ -사업소개 -시연 3.참고 자료
본문 입양의 특성 1. 아동을 위한 비시설 보호의 방법이다 2. 새로운 가족관계 창출, 아동을 위한 영구적인 가정 제공 3. 양부모와 양자 공동으로 인간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노력 4. 아동의 안전과 보호를 위하여 일정한 법적 절차를 따름 5. 양부모는 입양과 함께 양육에 대한 책임과 부모로서의 권리를 부여받음.
입양가정 선정의 기준
① 양자를 부양할 충분한 재산이 있을 것
② 양자에 대하여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고 사회의 일원으로서 그에 상응한 양육과 교육을 할 수 있을 것
③ 가정이 화목하고, 정신적 신체적으로 양자를 부양함에 현저한 장애가 없을 것
④ 양친될 자가 외국인인 경우, 본국법에 의하여 양친이 될 수 있는 자격이 있을 것
⑤ 기타 양자로 될 자의 복지를 위하여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필요한 요건을 갖출 것
입양가족의 문제점
(1) 입양에 대한 잘못된 기대 아동의 특수한 욕구, 아동기 내력, 의료적 정보, 이전의 보호 상황 등에대한 정확한 정보가 부족하면 입양아에 대해 잘못된 기대를 갖게 한다. (2) 입양아의 부적응 행동에 대해서는 즉각적으로 변화될 수 없다는인식하에 기대를 조정하고 대 처하는 가족의 노력이 필요하다. (3) 입양가족 체계의 변화 ① 모든 가족은 나름대로 이미 형성된 균형을 가지고 있으나 새 가족 성원이 생기면 균형은 흔들리게 되고, 혼란스러운 불균형 속에 새로운 균형을 찾아야 한다. ② 부부관계에 있어서도 아동에 대한 충성과 헌신이 부부간의 갈등을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4) 사회적 지지의 부족 우리나라의 경우 사회적 재가가 부족하고 지지를 제공하는 공식적 프로그램도 없다. 이는 입양가 족에게 부정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5) 입양아동의 문제 입양아동의 주요 문제는 친생부모와의 분리, 입양아동으로서의 자아정체감 등과 관련된 심리적문제이다.
본문내용 의 정의 혈연관계가 아닌 일반인들 사이에서 법률적으로 친자관계(親子關係)를 맺는 행위 입양이란? 양부모→ 다른 아동을 법적 절차를 밟아서 자기 자녀로 삼는 것 입양아→ 부모와 동등한 친자의 관계를 맺는 것
입양의 특성 1. 아동을 위한 비시설 보호의 방법이다 2. 새로운 가족관계 창출, 아동을 위한 영구적인 가정 제공 3. 양부모와 양자 공동으로 인간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노력 4. 아동의 안전과 보호를 위하여 일정한 법적 절차를 따름 5. 양부모는 입양과 함께 양육에 대한 책임과 부모로서의 권리를 부여받음.
입양가정 선정의 기준 ① 양자를 부양할 충분한 재산이 있을 것 ② 양자에 대하여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고 사회의 일원으로서 그에 상응한 양육과 교육을 할 수 있을 것 ③ 가정이 화목하고,
참고문헌 -저서- 오정수, 정익중 공저, 「아동복지론」, 학지사. 이재연 외 5명, 「아동복지론」, 학지사. -논문- 박미현, 『국내입양 파양에 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사이트- “두 번째 엄마 배신감 힘들어 파양 피해 연 800건”. (SBS 8시 뉴스, 2012년 3월 9일) 보건복지부 인터넷 사이트 http://www.mw.go.kr/front/jc/sjc0113mn.jsp?PAR_MENU_ID=06&MENU_ID=0613030102 보건복지부 통계포털 사이트 입양정보원 홈페이지 http://www.kcare.or.kr/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