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교육제도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입시제도와 교육열
[교육학] 교육제도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입시제도와 교육열.hwp |
목차 서론 본론 1. 한국의 입시제도 1)변화과정 2)문제점 (1) 너무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 (2) 학생을 줄 세우기 식의 교육, 선발 제도 (3)고교평준화 정책 2. 한국의 교육열 1)한국의 교육열 2)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교육열의 형성 배경 및 요인 4)교육열의 실상 5)교육열의 정상화를 위한 제안 결론 본문 <서 론> 교육제도는 오랜 역사에 걸쳐 나라마다 다르게 발전해 왔다. 한 나라의, 혹은 사회의 문화적 특성과 필요에 따라 변형되어 그 조직과 운영이 되어 온 것이다. 제도와 사회는 분리될 수 없는데, 그 중에서 교육제도는 우리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또한 사회의 영향을 받고 있다. 개개인의 자아를 성장시킨다는 면에서 교육은 미래를 바꾸는 방법이고, 희망이기 때문에 모든 사회의 관심사이다. 그리고 국가의 입장에서는 교육이 국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게 하는 수단이다. 교육제도는 결국 개인 차원의 기능과 동시에 국가차원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교육제도는 사회와 긴밀한 영향을 끼치고 있고, 그로인해 우리사회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 우리는 한국의 교육제도 중에서 입시 제도를 통한 교육제도와 사회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그로 인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한국의 교육열에 대해서도 조명해 보고자 한다. <본 론> 1. 한국의 입시제도 1) 변화과정 해방 이후 지금까지의 대합입시제도의 변화과정을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연도 제도유형 전형방법 고사과목 비고 1945~53 대학별 단독시험제 필기고사 필수 4과목(국,영, 수, 사회), 선택 1과목 이상 1954 대학입학 국가 연합고사 필기.면접.신체검사 필수 3과목(국,영,수), 선택 1과목 1955~61 대학별 단독 시험제 필기고사. 고교내신 1955~57 : 필수 4과목, 선택 1이상 1958~61 : 필수 4과목 1958년 내신 성적 제도화 1962~63 대학입학 국가 자격고사 국가고사. 신체검사. 면접. 기타 간이고사 1961 : 필수 6과목(국어1, 사회, 수학2, 과학, 실업가정, 영어, 선택과목) 1963: 필수 6과목 4지선다형 1964~68 대학별 단독시험제 필기.신체. 면접. 적성 대학별로 3~4과목 주, 객관식 절충 1969~80 예비고사, 본고사 1)예비고사 2)예비고사.내신 3)예비고사.내신. 본고사 4)예비고사. 본고사 예비고사 : 1967~70 -6과목(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실업) 본고사 : 국어, 영어, 수학, 일정과목 1981~93 대학입학 학력고사, 내신병행(선시험 후 지원) 학력고사. 내신성적 (내신30~40%) 필수과목. 선택과목 1986, 1987 : 논술고사 추가 1994~96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대학별 본고사 병행 1)내신성적 2)내신성적. 대학수학능력시험 3)내신성적. 본고사 4)내신성적. 대학수학능력시험. 본고사 대학수학능력시험 : 언어+수리및탐구+외국어능력 대학본고사 실시 여부 및 과목은 대학이 결정 대학수학능력시험 : 연 2회 실시, 5지 선다형 1997~2001 대학수학능력시험 + 학교생활 기록부 + 논술 내신, 수능, 대학별 고사 병행실시 언어, 수리, 과탐, 사탐, 외국어 종합적 전형, 전인적 평가, 다양한 전형방식 적용 2002~현재 대학수학능력시험, 내신 및 학교별 전형방법 혼합 적용 대학수학능력시험 + 학교생활기록부 + 논술 + 추천서 + 면접 등 언어, 수리 과탐, 사탐, 외국어 선택형 수능 체제 수시모집 및 특별전형 강화 우리사회에서 대학입학 시험은 초, 중등교육을 비롯한 모든 교육문제를 좌지우지하는 결정적인 것이다. 대학입학 시험은 한국 사회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잘 보여준다. 교육(학벌, 학력)을 통해 신분 상승하려는 욕구, 일류대학의 졸업장이 중요한 사회적 자본이 되는 학벌지상주의가 그것이다. 해방이후 지금까지의 대학입학시험제도는 표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대학입학시험은 10여 차례 변화해왔다. 1969학년도부터 1980학년도까지 실시된 대학입학예비고사제도는 대학별 본고사 제도가 계속 존속되면서 병행 실시되었다. 따라서 대학의 선발권을 적극적으로 보장하면서 동시에 국가가 관리하는 시험을 통해 일정 수준의 질적 관리도 가능한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예비고사제도의 시행목적은 일부 사학에서 일어났던 부정입학 근절과 대학 입학생의 질적 저하를 막는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본고사 체제 유지와 예비고사제도의 병행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바로 학생들의 학습 부담이 과중하다는 것이다. 전과목을 대상으로 하는 예비고사와 국, 영, 수 중심의 본고사를 한꺼번에 준비해야하는 어려움으로 학생들의 학습량은 증가하고, 입시에 대한 중압감 또한 높아졌다. 이는 사교육 의존도를 높였으며, 교육이 단지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전락하는데 기여하였다. 2) 문제점 이러한 입시제도의 변천을 통해서 고등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지장을 주었다. 첫째, 입시과목은 주요 몇 과목이었으며 선택과목에 있어서 과목 간 난이도가 달라 편협한 교육과 유리한 득점 위주의 교육이 실시되었다. 둘째, 입시과목의 배점이 편중되었다. 특히 국, 영, 수 세과목에 대해 득점을 절반 정도의 비중을 둠으로서 여타 과목을 소홀히 여기게 되었다. 셋째, 채점의 용이성에 맞춰서 객관식 문제가 출제되어 교육이 암기주입식으로 바뀌었다. -이는 사고력 향상, 지적 능력, 사고능력 신장보다는 학원에서의 입시에 맞춘 암기식 공부가 유리하게 되었다. 이는 학생들을 학원으로 내몰았다. - 넷째, 시험시기의 부적절함은 고등학교 3학년 교육과정의 비정상적인 운영을 초래했다. 고등학교 2학년까지는 전체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끝내버리고 3학년부터는 문제풀이 위주로 일관했다. 이 역시 학생들의 정상적인 학업 과정을 무시한 채 진행되어, 학생들이 제대로 수업을 따라갈 수 없게 하였고, 사교육에 의존하게 만들었다. 대학은 학생의 선발자율권을 주장하며, 국가는 이를 반대하고 있다. 대학신입생을 뽑는 주도권을 누가 행사할 것인가의 긴장상태에 놓여있다. (1) 교육은 백년지대계야?? 너무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 대학입시제도가 매번 바뀔 때마다 학생들은 혼란에 빠진다. 특히 이번 2008학년도 입시에서는 수능 등급제를 도입함으로 해서 혼란을 가져왔다. 학생들과 학부모들과 일선 교사들 본문내용 육, 선발 제도 (3)고교평준화 정책 2. 한국의 교육열 1)한국의 교육열 2)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교육열의 형성 배경 및 요인 4)교육열의 실상 5)교육열의 정상화를 위한 제안 결론 <서 론> 교육제도는 오랜 역사에 걸쳐 나라마다 다르게 발전해 왔다. 한 나라의, 혹은 사회의 문화적 특성과 필요에 따라 변형되어 그 조직과 운영이 되어 온 것이다. 제도와 사회는 분리될 수 없는데, 그 중에서 교육제도는 우리 사회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또한 사회의 영향을 받고 있다. 개개인의 자아를 성장시킨다는 면에서 교육은 미래를 바꾸는 방법이고, 희망이기 때문에 모든 사회의 관심사이다. 그리고 국가의 입장에서는 교육이 국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게 하는 수단이다. 교육제도는 결국 개인 차원의 기능과 동시에 국가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