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Ⅰ. 구제역 개요
 
 Ⅱ. 구제역의 발생현황
 
 Ⅲ. 구제역 확산요인
 
 Ⅳ. 구제역 
피해의 정부 대책
 
 Ⅴ. 구제역 피해의 정부 대책
 
 Ⅵ. 지역사회복지의 의의 및 필요성
 
 Ⅶ. 구제역 문제에 
지역사회복지의 개입 현황
 
 Ⅷ. 개선방안
 
 
 Ⅸ. 참고문헌
 
 
 
 본문
 Ⅰ. 구제역 
개요
 
 2010년 11월 안동에서 처음 구제역이 보고된 이후 걷잡을 수 없는 사태가 확산되었다.
 우리나라의 축산업은 직격탄을 
맞고, 붕괴 직전에 처해 있다. 하지만 피해는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구제역 감염가축의 살 처분 과정에서의 미흡함으로, 침출수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다보니 정부의 초기대응에 대한 아쉬움이 더욱 크게 남는다.
 구제역에 의한 치사율은 어린 가축에서 높아 
50%를 넘는 경우도 있지만. 성축에서는 일반적으로 낮아 보통 10% 미만이다. 그러나 이 병의 전염력이 다른 전염병에서 볼 수 없을 만큼 
빠르며, 발병 후에 생기는 발육장해, 운동장해 및 비유장해 피해는 매우 심각하다. 일단 한번 발생하면 발생국이나 발생지역에서는 엄격하게 생축과 
축산물의 이동제한을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축산물의 구체적 유통도 금지됨으로써 간접적으로 생기는 사회적 및 경제적인 피해 또한 막대하게 된다. 
이 병은 동물 질병 중에서 전염력이 강한 질병의 하나로서 사회 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국제수여사무국에서는 List A급 질병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제1종 법정가축전염병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는 질병이다.
 
 
 본문내용
 지역사회복지의 의의 및 필요성
 Ⅶ. 구제역 문제에 지역사회복지의 개입 현황
 Ⅷ. 
개선방안
 Ⅸ. 참고문헌
 2010년 11월 안동에서 처음 구제역이 보고된 이후 걷잡을 수 없는 사태가 확산되었다.
 우리나라의 
축산업은 직격탄을 맞고, 붕괴 직전에 처해 있다. 하지만 피해는 여기에 그치지 않았다. 구제역 감염가축의 살 처분 과정에서의 미흡함으로, 
침출수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다보니 정부의 초기대응에 대한 아쉬움이 더욱 크게 남는다.
 구제역에 의한 
치사율은 어린 가축에서 높아 50%를 넘는 경우도 있지만. 성축에서는 일반적으로 낮아 보통 10% 미만이다. 그러나 이 병의 전염력이 다른 
전염병에서 볼 수 없을 만큼 빠르며, 발병 후에 생기는 발육장해, 운동장해 및 비유장해 피해는 매우
 
 참고문헌
 1. 
참고문헌
 ■ 최일섭 외(2009, 지역사회복지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권중돈 외(2011), 사회복지개론, 서울: 
학지사.
 (논문)
 ■ 김정수, 고도현, 정은주, 『구제역 시민조사단 구성배경과 의미』, 한국환경사회학회, 2011.
 ■ 김정수, 
『구제역정책실패로 인한 환경문제와 시민과학』, 한국환경사회학회, 2011.
 
 2. 참고 사이트
 ■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역학조사과 
조사 보고서. “www.qia.go.kr”
 ■ 행정안전부 재난 대책과, 구제역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백서(2011)
 “www.mopas.go.kr”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