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목차
 
 Ⅰ. 서론
 1. 기업 선정동기
 2. 기업 소개
 (1) 
H&M
 (2) SPA
 
 Ⅱ. 본  론 : H&M의 성공사례 
분석
 
 󰁮 외부 환경 분석
 1. Michael Porters 5 Forces Model
 (1) 
Apparel market
 (2) H&M
 2. 주요 경쟁자 분석
 (1) ZARA
 (2) 
UNIQLO
 
 󰁮 내부 환경 분석
 1. 내부 여건 분석
 2. H&M의 VRIO 모형 
분석
 3. VRIO 모형을 통한 향후 전략
 
 󰁮 마케팅믹스(4P) 전략
 1. 제품전략 
(Product Strategy)
 2. 가격전략 (Price Strategy)
 3. 유통전략 (Place 
Strategy)
 4. 촉진전략 (Promotion Strategy)
 
 Ⅲ. 결론
 
 1. H&M의 성공 요인
 
 Ⅳ. 참고 문헌
 
 
 본문
 Ⅱ. 본  론 : H&M의 성공사례 
분석
 
 󰁮 외부 환경 분석
 1. Michael Porters 5 Forces Model
 
 Apparel Market Analysis - "Buyer Driven Industry"
 우리는 전체 Apparel 
Market을 5force 모델을 통해 분석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H&M의 핵심역량은 무엇이며, H&M이 그것을 
살려 어떤 경쟁우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 우선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Apparel Market의 5-Force 
Model
 
 ① 신규진입자의 위협 - 규모의 경제달성 한계, 유통채널 확보, 선점효과 등으로 인한 진입장벽 높다. 즉, 기존 
시장업자에게 있어서는 위협 요소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LOW
 
 ② 공급자의 교섭력 - 공급자 전환 비용과 위협요소가 낮고, 공급 
원료의 차별성이 크지 않다. 교섭력이 약하다는 것 역시 기존 시장에는 위협요소가 되질 않는다. LOW
 
 ③ 대체재의 위협 - 의류 
산업은 특정한 대체재를 규정짓기가 힘든 부분이 있다. LOW
 
 ④ 기존 시장 내의 경쟁 - 의류 산업은 경쟁의 경도가 심하며, 
퇴출장벽 또한 높다. 업체 간의 유사성 및 목표하는 바가 비슷하기 때문에 그 경쟁의 정도가 굉장히 높다고 할 수 있다. 
STRONG
 
 ⑤ 구매자의 교섭력 - 구매자는 시장 내의 경쟁자들 사이에서 언제든지 큰 전환 비용 없이 구매 경로를 변환할 수 있고, 
의류라는 제품의 특성상 제품 자체의 기술의 차이는 크게 찾아 볼 수가 없어 구매자의 교섭력이 높다. 
STRONG
 
 
 본문내용
 rs 5 Forces Model
 (1) Apparel market
 (2) 
H&M
 2. 주요 경쟁자 분석
 (1) ZARA
 (2) UNIQLO
 내부 환경 분석
 1. 내부 여건 분석
 2. H&M의 VRIO 모형 분석
 3. VRIO 모형을 통한 향후 전략
 마케팅믹스(4P) 전략
 1. 제품전략 
(Product Strategy)
 2. 가격전략 (Price Strategy)
 3. 유통전략 (Place Strategy)
 4. 촉진전략 (Promotion Strategy)
 Ⅲ. 결 론
 1. H&M의 성공 요인
 Ⅳ. 참고 문헌
 Ⅰ. 서 론
 1. H&M 기업 선정동기
 위의 그림은 세계적인 브랜드 컨설팅회사인 영국의 인터브랜드가 비즈니스 위크지와 
공동 조사를 통해 발표한 2010년 세계 10
 
 참고문헌
 Ⅳ. 참고 문헌
 
 H&M 
회사사이트
 http://www.hm.com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medicines.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8415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spisolation?Redirect=Log&logNo=10094379625
 http://blog.naver.com/dnlfhfmf?Redirect=Log&logNo=30097843581
 http://blog.naver.com/ddoner80?Redirect=Log&logNo=120031949975
 http://blog.naver.com/sahno?Redirect=Log&logNo=20117381161
 
 
 삼성경제연구소
 
 「글로벌 
SPA 의류 브랜드의 한국 시장 진출 - 유니클로(Uniqlo)와 자라(Zara)」
 2009.12.21. 김주헌
 
 「스웨덴 
최대 의류유통업체 H&M사의 구매전략」 2004.12. 이수정
 
 「스웨덴 H&M사, 컨셉 매장 늘리기로」 
2004.03. 이수정
 
 「패션 초우량 기업 H&M의 성공전략」 2008.12. 
정우섭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