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주제 선정이유
 
 ♣ 실습과정
 
 1) 청소
 2) 빨래
 3) 설거지(식사 후 
뒷정리)
 4) 요리
 5) 그 외 잡일들
 6) 육아
 ♣토론결과
 
 
 
 본문
 ♣ 실습과정
 실습은 
청소, 빨래, 설거지, 요리, 이 외의 잡일 부분으로 나눠 각자 한 부분씩 분담하여 실습 하였다. 또한 책정은 4인 가족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회당 얼마를 줄 것인지 천 원 단위로 책정하였고, 한 달 30일을 기준으로 하여 월 몇 번 정도 하는지를 고려하여 한 달 임금을 책정해 보았다. 
남녀 구분 없이 공평하게 여건 되는 사람은 하나씩!!!
 
 1) 청소 - 청소는 자주(거의 매일)하는 걸레질이나 쓸기, 쓰레기통 비우기 
등을 다 합쳐 임금을 계산했지만, 자주 하지 않는(?) 욕실 청소는 따로 계산하였다.
 
 방, 거실, 베란다를 포함하여 쓸고, 닦기,
 쓰레기통 비우기 등 1회 10,000원, 한 달에
 약 30회 - 10,000원 X 30 = 
300,000원
 
 
 욕실 청소
 1회 10,000원 한 달에 약 3회10,000원 X 3 = 
30,000원
 
 
 
 
 본문내용
 호사전화상담원비서교사 등이 대표적인 여성 직종이다. 넓게는 ‘여성노동(자)’을 
일반적으로 ‘핑크칼라’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록 임금노동은 아니지만 주부들의 가사노동도 핑크칼라에 해당된다. 한 연구는 2004년 기준으로 국내 
전업주부들의 가사노동가치를 국내총생산(GDP)의 28.2%인 219조원(1인당 가사노동가치 월 111만원)으로 추계했다. GDP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만 집계하기 때문에 미취업 주부가 집안에서 밥 짓고 빨래하고 청소하고 아이 키우는 노동은 제외되고 있다. 주부노동은 ‘비생산적 
노동’으로 간주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가사 노동을 직접 실습해보고 기존해 나와 있는 책정 기준과는 별도로 그 가치를 책정해 보기로 
했다.
 ♣ 실습과정
 실습은 청소, 빨래, 설거지, 요리, 이 외의 잡일 부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