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0월 27일 일요일

2000년대 국내외 패션디자인에 표현된 한국적 복식미 사례 연구

2000년대 국내외 패션디자인에 표현된 한국적 복식미 사례 연구
2000년대 국내외 패션디자인에 표현된 한국적 복식미 사례 연구.docx


목차
목 차

논문개요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과 범위

Ⅱ.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미적 특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 대한 정의
2.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미적 특성
(1) 외형적 특성
1) 선, 형태
2) 색채
3) 소재
4) 문양, 장식
(2) 내면적 가치
1) 순수미
2) 해학미

Ⅲ. 국내외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에 대한 사례분석
1. 외형적 특성
(1) 선, 형태
(2) 색채
(3) 소재
(4) 문양, 장식
2. 내면적 가치
(1) 순수미
(2) 해학미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그림목차
표목차


본문
Ⅱ.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미적 특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 대한 정의

한국적 패션 디자인이란 한국적 이미지를 발현시키는 디자인을 의미하므로, ‘한국적 이미지’를 디자인을 통해 물체에 투영시켜, 그 결과물에서 한국이라는 정체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즉, 디자인 대상이 한국적 이미지를 표출하게 만드는 디자인을 말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한국적 이미지란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받는 느낌으로 심상, 영상 및 인상을 뜻한다. 최경희, 엄준희, 김민자의 연구(2003)에 따르면 한국적 이미지는 한국이라는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으로써 역사 속에서 형성 되어온 미적 가치를 바탕으로 창조 또는 재생산된 가시적인 형상을 지칭한다. 위에서 언급한 ‘한국적’이란 타국, 혹은 타민족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삶의 방식 및 태도 등을 의미한다. 이는 한국인이 살아오면서 형성해 온 가치관, 윤리관, 자연관, 세계관 등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국적’이란 장시간 동안 자연스럽게 형성된 한국만이 가진 독특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국적 이미지가 나타내는 한국적인 것, 즉 한국적 독특성은 한국의 역사, 문화 및 풍토 등의 특징을 분석하여 공통된 특질들을 취합함으로써 그 의미를 이끌어 낼 수 있다. 김은정(2004)은 한국적 독특성을 형성하게 된 배경을 한국의 자연 및 풍토, 사회 및 민족성, 그리고 종교와 사상으로 나누어 설명하였고, 이러한 배경들로 인해 소박하고 순수하며 천진난만한 한국만의 특질이 형성되었다고 말한다. 한편 강희경(1998)은 한국적이라는 개념은 옛 것의 형식적인 재현이나 모방이 아닌 순수한 한국의 정신문화 전통과 현대화 요구의 충돌을 겪은 후 생겨난 역사적 경험의 산물이라 밝히고 있다. 따라서 한국적 독특성이란 역사적으로 형성되어온 것들 중 타국 및 타민족과 구별되는 한국만이 가진 형식과 정신들을 바탕으로 재창조 및 재생산된 특질이라 정리할 수 있다. 1980년대 중반 이후로 패션디자인은 물론 여러 분야에서 전통을 되찾고자 하는 의식과 함께 한국적인 미를 찾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2.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미적 특성

(1) 외형적 특성

1) 선, 형태

한반도는 노년기성 대지로 인해 자연 풍광이 완만하고 부드러운 느낌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풍토적 성향 속에서 한국 전통의 조형미가 성장하였고, 자연적 완곡선은 한국 전통적 선의 주류를 이루며 의복과 생활용품, 공예품, 건축물에 이르기 까지 사람을 둘러싼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한복의 도련과 배래, 버선의 곡선은 실용성이나 기능성보다는 오히려 심미적 욕구 때문에 나타난 선인데, 이는 완곡선이 나타난 의복 가장자리에 검정색 가는 선을 첨가하여 곡선이 들어간 부분을 강조한 경우를 통해 알 수 있다<그림 Ⅱ-1>. 저고리에서 보이는 많은 곡선들은 깃의 V-네크라인 및 과도한 비대칭을 이루고 수직으로 떨어지는 고름의 강한 직선과도 조화를 이루는데, 한복은 이러한 직선과 곡선이 만나 엮어내는 유연한 선의 흐름에서 그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다. 또한 한국의 선은 복식의 실루엣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서양 복식에서는 허리를 신체 중 가장 중요한 수평선으로 인식하여, 상의와 하의를 허리에서 분리하여 허리를 강조하는 실루엣을 많이 보인다<그림 Ⅱ-2>. 이에 반해 한국 전통 복식에서는 허리와 가슴 사이의 윤곽을 뚜렷이 구분하지 않고 주름, 착의법, 속옷 등을 이용해 전체적으로 완만한 사람 인(人)자 모양의 A-라인의 실루엣을 나타낸다<그림 Ⅱ-3>. 이는 허리선에 자유로움을 줌으로써 유연하게 흐르는 수직적 선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최세완 1992).


그림 Ⅱ-1 배자
.
그림 Ⅱ-3 신윤복, 미인도


본문내용
의 미적 특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한국적 패션 디자인에 대한 정의
2.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미적 특성
(1) 외형적 특성
1) 선, 형태
2) 색채
3) 소재
4) 문양, 장식
(2) 내면적 가치
1) 순수미
2) 해학미
Ⅲ. 국내외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에 대한 사례분석
1. 외형적 특성
(1) 선, 형태
(2) 색채
(3) 소재
(4) 문양, 장식
2. 내면적 가치
(1) 순수미
(2) 해학미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그림목차
표목차
논 문 개 요
현대사회는 과거 그 어느 때 보다 치열한 경쟁을 보이는 디자인 다원주의 시대를 맞아 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신선한 소재를 찾는 흐름이 시작되었다. 그 결과 주류 패션의 주변부에 자리하던 제 3세계

참고문헌
참 고 문 헌

단행본

고연희. 『조선시대 산수화-아름다운 필묵의 정신사』. 서울: 돌베게, 2007.
권영필 외5인. 『한국미학 시론』. 서울: 고려대학교한국학연구소, 1994.
김민자. 『한국 패션디자인의 제다움 찾기』.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김영자. 『한국 복식미 탐구』. 서울: 경춘사, 2009.
금기숙. 『조선복식미술(朝鮮服飾美術)』. 서울: 열화당, 1994.
오주석.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2(개정판)』. 서울: 솔, 2006.
이경자. 『우리 옷의 전통 양식』.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이동주. 『우리 옛 그림의 아름다움-전통회화의 감상과 흐름』. 서울: 시공사, 1996.
이재만. 『한국의 전통색』. 서울: 일진사, 2011.
최순우. 『한국미술(韓國美術,1-3)』. 서울: 陶山文化社, 1993.
하용득. 『한국의 전통색과 색채심리』. 서울: 명지, 1989.
한국고문서학회. 『의식주-살아있는 조선의 풍경』. 서울: 한국고문서학회, 2006.
허균. 『전통문양』. 서울: 대원사, 1995.

연속간행물

금기숙. 「조선 복식미의 탐구」. 『한국복식학회』14. (1990): 167-81.
김영자. 「문예물에 표현된 한국 복식미의 특성」. 『동양학』19. (1989): 399-429.
한은영. 「한국 전통복식에 나타난 백색에 관한 연구 : 한국의 회화민화에 나타난 전통복식을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3, 3. (2005): 63-74.

학위논문

권윤숙. 「우리나라 단청의 문양과 색채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1992.
김윤희. 「현대 한국적 복식에 나타난 인체와 복식에 대한 미의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김양호. 「전통 문양의 동영상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1988.
김은정. 「현대 패션에 나타난 한국적 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방옥자. 「조선시대 무속에 나타난 색채상징 연구: ‘무당내력’에 표현된 무복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7.
백민영. 「한국적 색채 특성 분석에 따른 트렌드 색채기획」. 석사학위논문.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윤희경. 「한국의 전통적 미의식과 오방색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이수련. 「한국 전통색의 연구 : 단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최세완. 「현대 패션에 표현된 한국복식의 전통미」.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2.
 

댓글 없음:

댓글 쓰기